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초보자분들을 위한 게이밍 컴퓨터 견적과 컴퓨터 부품 정보글

컴퓨터갤러리

by 혜여니♡ 2023. 6. 10. 11:29

본문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게이밍 컴퓨터 견적이 많아서 글 써볼게요.

만약 문제가 된다면 글 내리겠습니다.

 

내용은 게이밍 컴퓨터에 관한 내용을 적었습니다.  컴퓨터 이용자의 꽤 다수는 100만원 이하에서 컴퓨터를 맞추고 싶어하죠. 그리고 하는 게임들 또한 롤, 피파, 오버워치, 로아, 배틀그라운드, 발로란트 정도 일 겁니다. 이 정도 사양은 신품으로 맞춘다면 가성비가 매우 떨어지죠. 따라서 원하는 게임도 하면서 최대한 돈을 아낄 수 있게 견적을 짜 봤습니다.

그러면서도 최대한 안정성도 챙기려 했습니다. 이 글을 읽는 사람들 대부분이 초보거나 입문자일거라 생각하고 글을 작성 하겠습니다. 대신 글이 길어지는 점 양해 바랄게요. 댓글까지 읽으시면 도움 될 꺼에요.

 

하단에 견적 있습니다. 참조하시면서 본인한테 맞는 부품을 더하면 돼요.

예시)

-견적에는 a보드가 적혀있지만 '나는 b보드가 더 좋다'하면 b보드 가는게 맞습니다.(b보드가 a보드 보다 심리적 안정감이 있는거 압니다.)

-500w 파워면 충분한 사양이지만 '나는 심리적으로 600w가 좋다'하면 600w가시면 돼요.(위와 마찬가지)

 

컴퓨터는 목적에 따라 부품이 달라집니다. 남들이 보기에는 이상할 수도 있지만 이유만 있으면 전혀 상관없어요.

 

<가성비 게이밍 컴퓨터 맞추는 방법에 대한 설명>
1. 본인이 할 게임을 보고 그래픽카드를 선택한다.
2. 글카에 병목없는 4코어 or 6코어 cpu를 선택한다. (인텔은 p코어만 해서 6개, 4개)
3. cpu를 선택하면 그에 맞는 쿨러, 메인보드, 렘, ssd를 선택한다.
4. ssd는 게임만 할거면 pcle 3.0제품으로 간다.
5. 마지막으로 파워를 고른다.

 

<그래픽 카드 선정- 게임에 따라 그래픽카드를 고르시면 됩니다.>

3080은 10gb버전입니다. 8gb버전은 없어요.  3080이 10gb 버전하고 12gb버전이 있어서 헷갈렸네요.

 

게임 목적에 맞게 글카 선정을 해봤습니다.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설명을 적어놨어요.

 

1. 배그를 기준으로 적은건 현재 인기있는 게임 중 배그가 가장 게임 사양이 높아서 입니다.

     (사양순으로 배그> 오버워치 > 로아 > 발로란트 > 롤, 피파)

 

2.qhd 해상도부터는 3060ti부터 추천해요. 

    -해상도에 따른 사양은 fhd < qhd < 4k 입니다

    -래더리 2'를 'qhd'에서 하고 싶다하면 3060ti이상부터 유튜브에 검색하시면서 원하는 프레임을 고르시면 됩니다

 

3. 3060밑으로는 전부 신형으로 글카를 사기에 가성비가 매우 떨어집니다. 중고 추천할게요. 또한 3060, 3060ti,         - 3070또한 특가나 리퍼 제품이 아니라면 신품은 비추합니다.

  - 1660super'라는 그래픽카드는 정가로 32만원입니다. 3070 리퍼가 40만원 선에서 거래 되는걸 생각하면 절대           정가로는 못 삽니다

 

4. 3060밑으로는 전부 fhd 기준입니다.

      -qhd 해상도는 3060ti부터 건드리는걸 추천합니다

 

5. 3060은 8gb버전과 12gb버전이 있는데 8gb는 거르세요.

     -성능 차이가 매우 심하게 납니다. 다른 말로 가성비가 매우 떨어진다는 뜻입니다.

 

6. 3060ti는 ddr6와 ddr6x 버전이 있는데 특가를 한다면 아무거나 사시고 중고나 신형을 사야한다면 ddr6x 버전을 사십쇼.

     -가격이 같은데 성능이 평균 3%~6% 정도 납니다. 당연히 같은 값이면 더 높은 성능이 맞죠. 그런데 기존 사양의          제품이 할인을 한다면 가성비가 매우 올라가므로 당연히 특가하는걸 사는게 맞습니다

 

<cpu 맞추기>

1.2060이하는 3300x, 3600,10400,9400f을 중고로 선택하면 됩니다. 그런데 사실 메인보드 구하기가 인텔은 쉽지 않아서 라이젠을 좀 더 권장하게 되네요.

 

2. 9400f은 코어가 6개지만 쓰레드가 6개이므로 구매시 주의. [멀티프로세스에 약함]

 

3. 3060~ 3080까지는 12400f, 5600, 5600x 추천

 -5500은 사는거 아닙니다. 이유는 5600과 만원 차이로 전체 성능 10% 하락이기 때문이죠.

 

4. 5600이 3080에서 병목이 있냐 없냐 이야기가 있지만 가격이 너무 깡패라서 솔직히 신경쓰일 정도는 아니라고 생각 됩니다.

 

5. 4070~4090부터는 7600, 13600kf, 13700k 추천 

 

6. 4070은 이번세대 cpu장착해야 병목 없습니다.(5800x 3d 제외)

 

7. 7600은 멀티 성능은 안 좋지만 4090을 장착해도 병목이 없기에 추천합니다. (사실 4090을 다실 정도면 13600kf이나 13700k 추천)

 

8. 게이밍 뿐만 아니라 멀티 성능까지 고려하면 7900이나 13600kf, 13700k 추천해요.

 

<부수적인 팁 >

부족할 수 있으니 참고만 하세요

 

[그래픽카드]

-1660super 미만으로는 55만원 미만으로 컴퓨터를 맞출 수 있습니다.

-3060은 신품 약 47만원, 3060ti는 약 57만원이므로 3060과 3060ti는 신품 기준으로 110만원 미만으로 컴퓨터를 맞추는데 특가를 한다면 그 만큼 가격이 빠진다고 생각하면 편합니다.

-3080에 라이젠 5600을 추천한 이유는 3080이 중고로 가격이 싸고 5600도 알리나 11번가에서 13만원에 팔기에 이미 가성비가 충분하여 조금의 병목은 신경 쓸 필요가 없기 때문입니다.

-4070부터는 이번세대 cpu, 인텔13세대(13600k부터, 그 밑은 제품들은 12세대 리프레쉬 제품), 라이젠은 7600부터 장착해야 병목이 없습니다.

 

[cpu]

1. 알리나 11번가에서 5600이나 5600x를 17만원 미만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 알리에서는 13만원에서 자주 할인함)

2. 중고나라에서 3300x나 3600은 6만원~8만원 선에서 구매 가능합니다.

3. 인텔 cpu 중고는 메인보드 구하기가 까다로움. 이미 단종된 제품이 많아서 중고나라에서 따로 구매하는 경우 많음. 그래서 저가형은 라이젠 추천

4. 7800X 3D가 7950X 3D보다 게임 성능이 좋습니다. CCX 방식 때문에 그런건데 자세한 내용은 유튜브에 검색하시는 걸 추천

 -이걸 적는 이유는 게임만 보는 사람들은 코어수가 더 많다고 7950X 3D가 더 좋다고 생각될까봐 염려되서 적어요.

5. 인텔 13세대 제품은 렘 오버클럭 시 7800X 3D만큼은 아니지만 비비거나 이기는 게임이 있을 정도로 렘 오버클럭 효율이 좋아요.

 반대로 말하면 라이젠은 렘 오버클럭 안해도 성능이 나오니깐 돈을 아낀다는 의미입니다.

6. 국내게임 한정 깡패 성능은 5800X 3D, 7800X 3D가 맞아요. 특히 로스트 아크에서 깡패입니다. 그런데 사실 CPU에 그 돈 투자할 만큼이면 이미 로아하기에는 충분한 성능이므로 로아 때문에 굳 7800X 3D갈 필요없음.  근데 5800X 3D는 현재 특가로 39만원대 이미 라이젠 메인보드가 있다면 업그레이드 고려할만해요.

7. CPU 직구는 중고로 팔면 법에 접촉됩니다. 그냥 개인이 사서 쓰는건 상관없어요.

 

[ 메인보드]

1. 3300x부터 5600까지 보드는 아수스 ex a320m - gaming으로 간다고 생각하면 편합니다.

 -가격이 9만원대 메인보드(a보드 중에서 비싸편이므로 내구성이 좋다고 생각하면 맘 편함)

 -바이오스 업데이트 시 오버클럭으로 메모리 3200까지 뚫림

 -렘 소켓 4개

 -얘는 중고로 팔아도 수요가 있음.

 - 주의, 구매시 바이오스 업데이트 해달라고 꼭 말하세요.

 

[ 쿨러]

2.3300x, 3600, 5600, 5600x, 9400f, 10400, 12400f, 7600까지 전부 ag400으로 추천할게요.

-가격이 쌈 = 2만원

-성능이 좋음

-7600x 아님 '7600'임

 

[ 파워]

1. 2060밑으로는 전부 잘만 파워 500w 추천 그리고 750w까지 마이크로닉스 파워 추천합니다.  추천 이유는

 

-가격이 쌈 =  에코 맥스 500w 3만 6천원, 600w는 4만원입니다.저가 부품에 비싼 파워 필요없다고 생각합니다. 안정성만 있으면 돼요.

 

-잘만은 as가 좋습니다. 정확히는 저가 제품 중 가격 대비 as입니다. evga가의 as는 손해보험까지 있어 좋긴 하지만 500w 파워가 5만원대, 650w가 9만원 대입니다. 파워는 브랜드마다 유통사별 정책이 다릅니다. 파워 브랜드 하나에 유통사가 여러개일 수도 있고요. 그런데 잘만은 국내회사이므로 유통사가 본인 하나입니다. 제가 알기로는 구매 영수증만 있으면 새제품 or 리퍼로 교체해줍니다.

 

-지금까지 저가형 제품 이슈가 크게 없었음.

 

-잘만 600w 스탠다드도 괜찮음. as가 6년이고 파워가 넉넉하면 그냥 좋음. 추후 업그레이드나 중고로 팔 때 괜찮음.

 

 파워에 관해서는 이야기할 것들이 많은데 길어서 최대한 짧게 해볼게요. 아마 읽다 보시면 키보드로 유명한 회사가 어떻게 파워를 만드는지 아시게 될껍니다.(예시 - 커세어)
  파워는 사람마다 경험이나 주관에 따라 많이 갈립니다. 그래서 파워를 추천할 때는  보수적으로 선택하는 경향이 있어요. 유명한 브랜드마다 이슈가 있었는데 이건 검색해보면 나옵니다. 그래서 파워는 웬만하면 사람들이 많이 사는거 사는게 좋아요. 문제가 생겨도 이미 인터넷상 정보가 있기 때문에 혹시나 생길 수 있는 문제에 대해 대처할 수 있어요. 저는 그래서 750w이상은 웬만하면 시소닉, fsp, 안텍(시소닉, fsp oem임)으로 고릅니다.  ausu같은 유명한 메인보드 회사의 파워 또한 시소닉 oem제품입니다. 

 여기서 파워 oem에 대해 설명할게요. 갑자기 oem이 왜 나오지 하실 수 있는데 유명한 메인보드가 회사가 갑자기 예쁜 파워를 내놓는다면 신뢰성이 떨어지죠. 그래서 어디서 만들었는지 보는겁니다. 파워는 oem까지 따져서 좀 복잡합니다. 쉽게 말하면 삼성이 모니터를 만들었는데 패널이 lg꺼였다 정도로 생각하면 편해요.

 

최근에는 슈퍼플라워가 다시 올라왔네요. as정책 좋아요. evga파워 골드모델(파워 등급)은 슈퍼플라워가 제조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msi 파워가 유행하는데 cwt oem입니다. 저가 제품은 논란이 있고 고가 제품이 매우 잘 만들기로 유명해요. 아마 커세어 파워도 cwt에서 만드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파워 이야기는 여기서 컷 하겠습니다.

 

만약에 업그레이드까지 고려하면 파워는 원래 맞추려는 사양보다 높게 잡아도 돼요. 라이젠 cpu를 사용했다면 추후 업글까지 고려해서 좀 더  높은 용량의 파워 추천할게요.

 

[ssd]

1. pcle 3.0이면 충분하다

-메인보드에 pcle 3.0인지 4.0인지 적혀있습니다.<https://www.intel.co.kr/content/www/kr/ko/gaming/resources/what-is-pcie-4-and-why-does-it-matter.html> -   pcle 에 대한 인텔에서 공식 설명

 

2. 상위 그래픽카드일수록 높은 사양에 게임을 한다는 뜻이므로 1테라 이상 추천합니다.

 

3. 저장 장치에 대한 가벼운 이해

 1).hdd 최대 파일 전송 속도 -> 160mb/s 이하 ( 200 넘는 제품이 최근 나왔다는데 그래도 도긴개긴 )

 

 2).sata방식의 ssd = 2.5형(크기가 2.5인치라서 2.5형) -> 최대  500mb/s  -> 게임에서 충분함: ssd업글에서 가        장 큰 체감이 됨

 -mx500이 가장 유명

 

3). pcle 3.0 (폼팩터=인터페이스 달라짐)  -> 최대 읽기 쓰기 3,500mb/s  이하 -> 사타보다 게임 로딩이 10~15% 빠른 정도

 -p31, 970evo plus(특가 자주하는 것들)

 

4). pcle 4.0 -> 최대 읽기 쓰기 6,900mb/s  이하 -> 게임용은 아님, 저가 메인보드는 인식이 안 됨

- 메인보드 b550, b560부터 적용됩니다. 그런데 이게 물리적 지원이 아니라 cpu에서 끌어쓰기 때문에 인텔 10세대 제품을 b560에 넣으면 pcle 4.0 안 됨.

-980pro, pm9a1(980pro의 oem제품). p41

 

게임에 한해서는 ssd는 3.0이면 충분합니다.

현재 가격면에서 2.5형과 pcle 3.0제품간 차이가 거의 없습니다. 따라서 특가하면 언제가 쓰겠다는 마인드로 쟁겨놓으세요.

여담으로 2테라 제품 꽂으면 1.81테라로 뜨는거 정상임

 

[견적]

70만원 이하 게이밍 컴퓨터 견적(견적왕에는 a320m - gaming 보드가 없어 다나와에서 캡쳐했습니다)

 

1.빨간색은 거의 고정입니다. 고정비라고 할게요.

   ssd는 특가로 구매하면 더 싸게 살 수 있어요.

   970evo plus는 특가로 1테라가 79,600원까지 떨어져서 2만원 더 싸게 구할 수 있음.

   (밑에 고정비에는 특가 비용으로는 넣지 않았음)

 

2.파란색은 본인 판단에 맞춰서 사면 돼요.(파워 ,케이스)

  -케이스는 둘다 그래픽카드 장착 길이가 340mm입니다

  -앱코 케이스의 cpu쿨러 호환 길이는 175mm, 디벤은 160mm입니다. (참고로 ag400의 높이는 150mm)

  -파워는 아무거나 고르시면 되는데 600w 스탠다드의 보증이 6년입니다.

 

위를 통해서 견적을 짜본다면

 

만약 앱코 케이스에 잘만 스탠다드 600w 파워 선택시

 -> 고정비 37만 5천원에 +cpu값 +그래픽카드 값 이라고 하면 견적하는데 많이 편할겁니다.

 

[ 배그 fhd 국민옵션 144프레임 방어용/ 로스트아크용/ 오버워치 용]

   배그가 가장 사양이 높기에 배그로 타켓 잡아 설명할게요. 배틀그라운드에 어울리는 그래픽카드는 1660super입니다. cpu는 3600 or 5600 추천할게요. 그래픽카드에는 3600이 어울리나 국내게임은 최적화가 안 좋아서 cpu빨을 많이 타기에 5600을 가도 오버 사양은 아닙니다.

 

   고정비 37.5만원

  +중고 글가 1660 super 13만원

 + 중고 cpu 3600 8만원 or 신품 5600 17만원

 = 58.5만원 or 67.5만원

      -1660super는 13만원~15만원에 거래( 1660super 가격이 신품이 30만원이므로 무조건 중고) 

       -만약 ssd 용량과 파워 용량을 줄이면 55만원 중반대 가격까지 내려갑니다

       -'1660ti'라는 그래픽카드는 성능은 3%더 좋은데 중고가가 높습니다.

 

-밑에꺼는 cpu3600에 1660super 자료영상 ( 유튜브에 '5600 1660super puge'치면 cpu을 5600으로 맞춘 배그 프레임 영상 나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kQFuJDXwGhs

 

-5600x 1660super 로스트아크 게임 플레이 ( 1080p라고 적힌 4:30초 까지만 보시면 돼요)

 

 

https://www.youtube.com/watch?v=DEpQkvJfKcE&t=246s

 

 3060부터 3070ti까지 견적은 현재 4000번대 제품이 나오므로 비추하고 특가와 리퍼 제품 할인을 자주 하기에 공식적으로 견적을 짜기 많이 힘들어요. 만약 현재 견적을 짠다면 4070이나 4070ti, 4080을 짜는데 이건 가성비 게이밍은 아니라고 생각해서 여기에는 안 적겠습니다.

 

제가 인터넷하면서 글을 처음 써보는데 많이 떨리네요.

저 역시 컴퓨터를 처음 접할 때 너무 몰라서 이것 저것 물어봤는데 누군가 정리해주었으면 어떠했을까 라는 생각으로 글을 적네요.

부족한 글이니 만큼 계속 수정할게요.

그리고 이것도 적으면 좋겠다는 내용은 댓글로 남겨주시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